엘리어트 파동이론(Elliott Wave Principle) 정리

2025. 5. 9. 23:54주식 기초 정보

반응형

 

주식을 공부하다 만나는 이론...

 

엘리어트 파동이동

 

실제로 주식 투자에서 여러가지 수 없이 많이 해석 함으로써 변하게 되고 적용이 되었다고 생각하면 적용이 된것이고

 

아니라고 생각하면 아니고  그렇다고  생각하면 그렇게 보이는 파동이론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래도 주식 공부를 하다 보면 나오는 기초이론중에 하나입니다.

 

엘리어트 파동과 같이 움직인다고 볼 수가 없는 기초적인 부분임을 알았음 합니다. 

 

이 그림은 내가 따로 정리 한 부분입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Elliott Wave Principle) 정리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주식 시장의 가격 변동이 일정한 패턴과 리듬을 반복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 기술적 분석 이론입니다. 1930년대 미국의 랠프 넬슨 엘리어트가 제시했으며, 주가의 움직임이 자연의 법칙과 유사한 규칙성을 가진다고 주장합니다

1. 기본 구조와 사이클

  • 시장의 한 사이클은 상승 5파(충격파) + 하락 3파(조정파), 총 8개의 파동으로 구성됩니다
  • 이 8개의 파동은 더 큰 파동의 하위 구조가 되거나, 더 작은 파동으로 세분화될 수 있습니다. 즉, 파동은 다양한 시간 프레임(분, 시간, 일, 주, 년)에 걸쳐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상승국면(충격파)하락국면(조정파)
1파, 3파, 5파 (상승) 2파, 4파 (하락, 조정)
a, c파 (하락) b파 (상승, 조정)
 

2. 파동의 진행 원리

  • 상승 5파: 1파(상승) → 2파(조정) → 3파(상승) → 4파(조정) → 5파(상승)
  • 하락 3파: a파(하락) → b파(상승) → c파(하락)
  • 이 구조는 상승장과 하락장 모두에 적용되며, 파동이 끝나면 다시 새로운 파동이 시작되어 순환이 반복됩니다

3. 엘리어트 파동의 3대 법칙

  1. 2파동은 1파동의 시작점보다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다
  2. 3파동이 가장 짧은 파동이 될 수 없다
  3. 4파동은 1파동의 고점과 겹치지 않는다

이 세 가지 법칙을 위반하면 정상적인 엘리어트 파동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4. 피보나치 수열과의 관계

  • 엘리어트 파동은 피보나치 수열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파동의 길이, 조정폭, 목표가격 등을 예측할 때 피보나치 비율(예: 38.2%, 61.8%, 161.8%)을 활용합니다
  • 예를 들어, 2파동의 조정폭은 1파동의 38.2~61.8% 수준에서 반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5. 실제 활용 팁

  • 3파동은 보통 가장 강하고 길게 나타나며, 이 구간에서 수익률이 가장 높을 수 있습니다
  • 2파동과 4파동은 서로 다른 형태(횡보 vs 급락 등)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파동의 연장: 1, 3, 5파 중 하나가 다른 파동보다 길어질 수 있으며, 주로 3파가 연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실전에서는 변형된 패턴(예: 상승 3파에서 끝나는 경우 등)도 자주 발생하므로, 엄격한 공식보다는 참고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 한계와 주의점

  •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전체 시장지수에 더 잘 적용되며, 개별 종목에는 적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파동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히 구분하기 어렵고, 해석에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많습니다

요약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주가가 상승 5파, 하락 3파의 반복적인 패턴을 통해 움직인다는 기술적 분석 이론입니다. 피보나치 수열과 결합해 조정폭과 목표가를 예측하며, 3대 법칙(2파는 1파의 시작점 아래로 못 내려감, 3파가 가장 짧을 수 없음, 4파는 1파의 고점과 겹치지 않음)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실전에서는 참고자료로 활용하되, 변형된 패턴과 해석의 한계를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블로그용 요약 이미지/예시

  • 상승 5파, 하락 3파의 구조 그림
  • 피보나치 되돌림 예시 차트
  • 3대 법칙 강조 박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