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기초 정보

기업은행 배당금 1억 받으려면? 투자금 계산해봤습니다

윤네르바 2025. 5. 27. 23:44
반응형

 

 

누군가가 어디서  기업은행을 평단가 10,000원 22년 하반기에 3억이상 가지고 있음 지금 월 배당이 얼마나 나와?

 

기업은행(IBK)의 2024년 결산 기준 배당금은 보통주 1주당 1,065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배당기준일은 2025년 3월 31일이며, 배당금은 연 1회 지급됩니다.

보유 주식 수 계산

2022년 하반기에 3억 원 이상을 투자하셨고, 당시의 평균 매입 단가가 10,000원이라면, 보유 주식 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보유 주식 수 = 투자 금액 ÷ 주당 매입가
  • 보유 주식 수 = 300,000,000원 ÷ 10,000원 = 30,000주

연간 배당금 계산

  • 연간 배당금 = 보유 주식 수 × 주당 배당금
  • 연간 배당금 = 30,000주 × 1,065원 = 31,950,000원

월평균 배당금

  • 월평균 배당금 = 연간 배당금 ÷ 12개월
  • 월평균 배당금 = 31,950,000원 ÷ 12 ≈ 2,662,500원

즉, 월평균 약 266만 원의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참고 사항:

  • 기업은행은 연 1회 배당을 실시하므로, 실제 배당금은 매년 한 번에 지급됩니다.
  • 배당금에는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되므로, 실수령액은 세금 공제 후 약 27,027,150원이 됩니다.
  • 세후 월평균 수령액은 약 2,252,262원입니다.

배당 수익을 월 단위로 활용하고자 하신다면, 분기 또는 월 배당을 실시하는 다른 종목이나 ETF를 고려해 보시는 것도 좋은 전략일 수 있습니다.

 

배당 수익률은 오래 보관 하면 생기는 거야?

 

좋은 질문이에요!
배당 수익률오래 보관해서 생기는 게 아니라, 투자 당시 매입 단가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고정 개념입니다.


✔ 배당 수익률이란?

배당 수익률(%) = (주당 배당금 ÷ 매입 주가) × 100


✔ 예시로 설명:

  • 기업은행을 2022년에 10,000원에 샀고
  • 지금도 주당 1,065원 배당을 주면

배당 수익률 = (1,065 ÷ 10,000) × 100 = 10.65%

즉, 당신이 그 주식을 얼마나 오래 보유했는지와는 상관 없이,
당시 매입가 기준으로 연간 배당금이 얼마인지로 수익률이 결정됩니다.


✔ 주가가 올라도 배당 수익률은 그대로?

  • 만약 지금 주가가 15,000원이 되었다면
  • 신규 투자자의 배당 수익률은 (1,065 ÷ 15,000) × 100 = 약 7.1%

그러나 **당신의 배당 수익률은 여전히 10.65%**로 유지됩니다.
이런 점 때문에 저평가 시점에 배당주를 오래 보유하는 전략이 매우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정리

항목 설명

배당 수익률 매입가 기준으로 고정됨
오래 보관하면? 배당 수익률이 높아지는 건 아님 (그대로)
장점은? 주가가 올라가도 배당금은 그대로 → 수익률 유지
전략 저가에 많이 사두고 오래 보유하면 '실질 수익'이 커짐

 

그럼 지금 유투브에서 지금 배당 수익율이 30%가 된다고 하는데 이건 틀린 말이야?

 

 

유튜브에서 "배당 수익률 30%"라는 표현을 접하셨다면, 이는 일반적인 의미의 배당 수익률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배당 수익률은 **주당 배당금 ÷ 현재 주가 × 100%**로 계산되며, 안정적인 기업의 경우 보통 3~7% 수준입니다.

그러나 일부 유튜브 콘텐츠에서는 특정 상황을 강조하여 "배당 수익률 30%"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를 이해하기 위해 몇 가지 가능성을 살펴보겠습니다.


✅ 1. 매입가 기준의 수익률 강조

일부 투자자들은 과거에 저렴한 가격으로 주식을 매입하여, 현재의 배당금 기준으로 계산하면 높은 수익률을 얻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 과거 매입가: 3,000원
  • 현재 주당 배당금: 900원
  • 배당 수익률 = (900 ÷ 3,000) × 100% = 30%

이러한 계산은 개인의 매입가에 따라 달라지며, 현재 주가 기준의 일반적인 배당 수익률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 2. 특정 ETF나 고위험 상품의 수익률

일부 고배당 ETF나 특정 금융 상품은 높은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인 배당 수익률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 특정 월배당 ETF의 연간 수익률이 10% 이상인 경우
  • 특정 금융 상품의 단기 수익률이 높은 경우

이러한 수익률은 일반적인 주식의 배당 수익률과는 다른 방식으로 계산되며, 투자자에게는 추가적인 리스크가 따를 수 있습니다.


✅ 3. 배당 외의 수익 포함

일부 콘텐츠에서는 배당 수익 외에도 주가 상승에 따른 자본 이득을 포함하여 전체 수익률을 계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배당 수익률: 5%
  • 주가 상승에 따른 수익률: 25%
  • 총 수익률 = 5% + 25% = 30%

이러한 계산은 배당 수익률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용어의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결론

"배당 수익률 30%"라는 표현은 일반적인 배당 수익률의 개념과는 다를 수 있으며, 콘텐츠 제작자가 특정 상황이나 계산 방식을 강조한 것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표현을 접하셨을 때는 해당 콘텐츠의 내용을 자세히 확인하고, 실제 투자에 앞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추가로, 배당 수익률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이 영상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YouTube)


 

 

지금 기업은행의 배당률은 얼마야?

 

2025년 5월 기준, 기업은행(IBK)의 최근 배당 수익률은 약 **6.9%**입니다. 이는 2024년 결산 기준 주당 배당금 1,065원을 기준으로 한 수치입니다. 

증권사들의 전망에 따르면, 2024년 결산 기준 배당 수익률은 **7.3%**에서 8.5% 사이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나증권은 7.3%를, Goover 리포트는 8.5%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키움증권은 2025년 예상 배당 수익률을 **7.5%**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기업은행의 배당 수익률은 현재 약 6.9%이며, 향후 7% 이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국내 은행주 중에서도 높은 수준으로,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좋아 그럼 다시 첨으로 돌아가서 22년하반기에 10,000월에 3억원을 구입했다면 지금 배당금을 얼마 받는거야?
그리고 지금 얼마의 이익이 되었는지도 알려줘

 

2022년 하반기에 기업은행 주식을 주당 10,000원에 총 3억 원어치 매입하셨다면, 현재까지의 배당 수익과 평가 이익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1. 보유 주식 수 계산

  • 총 투자 금액: 3억 원
  • 매입 단가: 10,000원
  • 보유 주식 수: 3억 원 ÷ 10,000원 = 30,000주

💰 2. 2024년 결산 기준 배당 수익

  • 주당 배당금: 1,065원
  • 총 배당금: 30,000주 × 1,065원 = 31,950,000원
  • 배당소득세(15.4%) 공제 후 실수령액: 31,950,000원 × (1 - 0.154) ≈ 27,027,150원

📈 3. 현재 평가 이익

  • 현재 주가: 15,470원
  • 총 평가 금액: 30,000주 × 15,470원 = 464,100,000원
  • 평가 이익: 464,100,000원 - 300,000,000원 = 164,100,000원

📊 4. 총 수익 및 수익률

  • 총 수익: 배당금 실수령액 + 평가 이익 = 27,027,150원 + 164,100,000원 = 191,127,150원
  • 총 수익률: 191,127,150원 ÷ 300,000,000원 × 100 ≈ 63.7%

🔍 요약

항목 금액(원)

투자 원금 300,000,000
배당금 실수령액 27,027,150
평가 이익 164,100,000
총 수익 191,127,150
총 수익률 63.7%

기업은행은 2026년부터 분기 배당을 도입할 예정이며, 배당 성향도 점진적으로 40%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향후 배당 수익의 안정성과 증가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나 다른 투자 전략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그럼 다시 여기서  이 유투브가 2개의 종목으로 배당금을 1억받는다고 함 일단 계산해보니 틀린 말이지만 배당을 1억받으면 건강보험료 및 종합소득세는 얼마를 내야 하는거야? 

 

 

배당금으로 연간 1억 원을 받게 되면, 종합소득세건강보험료 측면에서 추가적인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항목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1. 종합소득세

배당소득은 기본적으로 15.4%의 세율로 원천징수되지만, 연간 금융소득(이자 + 배당)이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종합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등)과 합산하여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이 경우, 누진세율(6.6%~49.5%)이 적용되며, 이미 납부한 15.4%는 세액공제로 차감됩니다.

  • 다른 소득이 없는 경우: 배당소득만 있는 경우, 약 1억 3,000만 원까지는 추가 세금 없이 15.4%의 원천징수세로 과세가 종결될 수 있습니다. 
  •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 근로소득 등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 금융소득 2,000만 원 초과분에 대해 누진세율이 적용되어 추가 세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2. 건강보험료

지역가입자의 경우, 연간 금융소득이 1,000만 원을 초과하면 건강보험료 부과 대상이 됩니다. 배당소득 1억 원의 경우, 건강보험료는 연간 약 1,000만 원 이상이 추가로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직장가입자의 경우, 추가 소득이 연간 3,400만 원을 초과하면 초과분에 대해 건강보험료가 부과됩니다. 

✅ 요약

  • 종합소득세: 다른 소득이 없다면 15.4%로 과세 종결 가능; 다른 소득이 있다면 추가 세금 발생 가능
  • 건강보험료: 지역가입자의 경우 연간 약 1,000만 원 이상 추가 부담 예상

주의사항: 세금 및 건강보험료는 개인의 소득 구성, 가족 구성원, 재산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배당 많이 받으면 이렇게 됩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 건강보험료)

 

 

 

궁금한것이 있어.  기업은행을 평단가 10000원 22년 하반기에 3억이상 가지고 있음 지금 월 배당이 얼마가 나와

 

기업은행 3억 투자(평단 10,000원) 시 월 배당금 계산

1. 기업은행 배당 구조 및 최근 배당금

  • 기업은행은 연 1회 결산배당만 실시하고 있으며, 분기·월 배당은 아직 도입되지 않았습니다
  • 2025년 결산배당 기준, 1주당 배당금은 1,065원입니다
  • 실제 배당금 지급은 매년 4월경에 1년치가 한 번에 지급됩니다

2. 3억 원 보유 시 예상 배당금

  • 평단가 10,000원 기준, 3억 원 투자 시 보유주식 수:
    300,000,00010,000=30,000\frac{300,000,000}{10,000} = 30,000
  • 연간 총 배당금(세전):
    30,00030,000주 × 1,065원 = 31,950,000원
  • 배당소득세(15.4%) 차감 후 실수령액:
    31,950,000×0.846=27,034,70031,950,000 \times 0.846 = 27,034,700

3. 월 배당금 환산

  • 기업은행은 월 배당이 아니라 연 1회 지급이지만, 월평균으로 환산하면:
    • 세전 월평균:
      31,950,00012≈2,662,500\frac{31,950,000}{12} \approx 2,662,500
    • 세후 월평균:
      27,034,70012≈2,252,891\frac{27,034,700}{12} \approx 2,252,891

4. 실제 지급 방식

  • 실제로는 매월이 아니라, 1년에 한 번(4월경) 약 2,700만 원(세후 약 2,250만 원)을 일시 지급받게 됩니다

요약

  • 3억 원(평단 10,000원) 투자 시, 2025년 기업은행 배당금은 세전 약 3,195만 원, 세후 약 2,703만 원입니다.
  • 월평균 환산 시 세후 약 225만 원 수준이지만, 실제로는 연 1회 일시 지급됩니다.
  • 분기·월 배당이 도입되면 지급 방식이 변할 수 있으나, 2025년 현재는 연 1회 결산배당만 있습니다

"기업은행은 중간배당이나 분기배당을 아직 도입하지 않고 있기에 결산 배당금은 모두한 번에 지급된다.

 

 

 

좋아 그럼 더 궁금한것이 2022년도 10000원에 3억 구입한 사람과
지금 3억구입한 사람이 받는 배당금이 달라?

 

2022년 vs 2025년 기업은행 3억 투자 시 배당금 비교

1. 기본 조건 비교

구분투자시기주당가격보유주식 수주당배당금배당수익률
2022년 2022년 10,000원 300,000주 960원 9.6%
2025년 2025년 15,590원 192,432주 1,065원 6.83%
 

2. 연간 배당금 산출 (세전)

  • 2022년 투자자:
    300,000주×960원=288,000,000원300,000\text{주} \times 960\text{원} = 288,000,000\text{원}
  • 2025년 투자자:
    192,432주×1,065원≈205,000,000원192,432\text{주} \times 1,065\text{원} \approx 205,000,000\text{원}

3. 실수령액 (세후, 15.4% 세금 적용)

구분세전 배당금세후 배당금월 환산액
2022년 2억 8,800만 원 2억 4,365만 원 약 203만 원
2025년 2억 500만 원 1억 7,343만 원 약 144만 원
 

4. 주요 차이점 분석

  1. 주식 수 차이:
    • 2022년 투자자는 주가가 낮아 더 많은 주식 확보 (300,000주 vs 192,432주)
    • 1.56배 더 많은 주식 보유
  2. 배당금 증가율 vs 주가 상승율:
    • 배당금: 960원 → 1,065원 (+11% 증가)
    • 주가: 10,000원 → 15,590원 (+55.9% 상승)
    • 주가 상승폭이 배당금 증가율을 크게 앞도함
  3. 배당수익률 하락:
    • 2022년: 9.6% → 2025년: 6.83%
    • 동일 금액 투자 시 수익률이 28.8% 감소

5. 결론

  • 2022년 투자자가 더 높은 배당금 수령: 주가 대비 배당금 비중이 높았던 2022년 투자가 유리했습니다.
  • 현재(2025년) 투자 시 주가 상승 영향: 주가가 크게 오르면서 동일 투자금으로 확보한 주식 수가 감소해 총배당금이 줄어듭니다.
  • 배당 성장률 한계: 주당배당금 11% 증가로는 주가 55.9% 상승을 상쇄하기 부족합니다.

"배당투자 시 주가 수준과 배당수익률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해야 합니다

 

 

그럼 지금  어떤 유투브에서 지금 배당 수익율이 30%가 된다고 하는데 이건 틀린 말이야?

 

지금 유튜브 등에서 "기업은행 배당 수익률이 30%가 된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릅니다.

배당 수익률의 산정 방식

  • 배당 수익률은 일반적으로 "현재 주가 대비 1년간 배당금의 비율"로 산정합니다.
  • 예를 들어, 2025년 기준 기업은행의 주당 배당금이 1,065원이고, 현재 주가가 약 15,590원이라면 배당 수익률은 약 6.8%입니다.
  • 30%에 가까운 배당 수익률은 일반적인 은행주에서는 찾아보기 어렵고, 고위험 고배당주나 특별한 상황(예: 일회성 특별배당, 주가 폭락 등)에서만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30% 배당 수익률 주장의 근거와 오해

  • 일부 유튜브 등에서는 "과거 특정 저점 매수가 기준"으로 계산해 '내 평단 대비 수익률'을 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08년 금융위기 저점이나 20년 전 저가 매수자라면, 현재 배당금이 매입가 대비 30%에 달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지금 3억을 투자해 30% 배당을 받는다"는 의미라면, 이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최근 1~2년 내 매수자나 신규 투자자는 결코 30% 배당 수익률을 받을 수 없습니다.

실제 고배당주 사례와 비교

  • 미국/유럽 시장에서도 정상적인 대형주, 은행주, 우량주에서 10%를 넘는 배당 수익률은 매우 드물며, 30%는 거의 없습니다
  • 고배당주로 분류되는 일부 특수주(예: 해운주, BDC, 리츠 등)도 20%를 넘기기 어렵고, 그마저도 지속 가능성이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

  • 지금 기업은행에 3억을 투자하면, 실제 배당 수익률은 약 6~7% 수준입니다.
  • "30% 배당 수익률"은 과거 극저점 매수자 등 일부 특수한 경우에만 해당하며, 지금 신규 투자자에게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유튜브 등에서 언급되는 30% 수익률 주장은 투자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니, 반드시 '현재 주가 기준'의 수익률을 확인해야 합니다.

"A high dividend yield can indicate many things, and not all of them are good. A falling stock price can actually increase dividend yields, and ... the best high-dividend stock is currently Two Harbors Investment Corp (TWO), which has a forward dividend yieldof 16.66%. — 일반적으로 10%를 넘는 배당 수익률도 매우 드물다는 점을 참고하세요

 

 

 

그럼 월 500가량 배당금을 받는다는 소리는 배당금 만으로는 불가능한 소리야?

 

 

월 500만 원(연 6,000만 원) 수준의 배당금을 기업은행 한 종목 배당금만으로 받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기업은행 배당금으로 월 500만 원 받으려면

  • 2025년 기준 기업은행 1주당 배당금은 1,065원, 시가배당률은 약 6.9%입니다
  • 현재 주가(약 15,590원)로 계산하면, 월 500만 원(연 6,000만 원) 세후 배당금을 받으려면 대략 9억~10억 원 이상을 투자해야 합니다
    • 예시: 3억 원 투자 시 연 배당금은 세후 약 2,250만 원(월평균 약 188만 원) 수준에 불과합니다.
    • 월 500만 원을 받으려면 3억 원의 2.5~3배(약 7.5억~9억 원) 이상이 필요합니다.

주요 참고점

  • 기업은행은 연 1회 결산배당이므로 실제로는 매월 지급이 아니라 1년에 한 번 일시 지급됩니다
  • 유튜브 등에서 "월 500만 원 배당"을 언급하는 경우, 여러 고배당주를 포트폴리오로 묶거나, 과거 극저점 매수자(평단가가 매우 낮은 경우) 혹은 시세차익까지 포함한 사례일 수 있습니다
  • 2025년 현재 기업은행 단일 종목만으로, 3억~4억 원 투자로 월 500만 원 배당을 받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결론

  • 기업은행 배당금만으로 월 500만 원을 받으려면 9억~10억 원 이상 투자해야 하며, 3억 원 투자로는 불가능합니다.
  • "월 500만 원 배당"은 현실적으로 매우 큰 자본이 필요하며, 단일 고배당주만으로 달성하기는 어렵습니다

 

 

좋아 그럼 다시 첨으로 돌아가서 22년하반기에 10000월에 3억원을 구입했다면 지금 배당금을 얼마 받는거야? 
그리고 지금 얼마의 이익이 되었는지도 알려줘

 

 

2022년 하반기 10,000원에 3억 원 투자 시 2025년 배당금과 이익

1. 2025년 배당금 계산

  • 보유 주식 수:
    300,000,000원10,000원/주=30,000주\frac{300,000,000 \text{원}}{10,000 \text{원/주}} = 30,000 \text{주}
  • 2025년 주당 배당금:
    1,065원
  • 총 배당금(세전):
    30,000주×1,065원=31,950,000원30,000 \text{주} \times 1,065 \text{원} = 31,950,000 \text{원}
  • 세후(배당소득세 15.4% 차감):
    31,950,000원×0.846=27,034,700원31,950,000 \text{원} \times 0.846 = 27,034,700 \text{원}

2. 현재 평가차익(2025년 5월 기준)

  • 2025년 5월 23일 기준 주가:
    15,370원
  • 현재 평가금액:
    30,000주×15,370원=461,100,000원30,000 \text{주} \times 15,370 \text{원} = 461,100,000 \text{원}
  • 투자원금:
    300,000,000원
  • 평가차익:
    461,100,000원−300,000,000원=161,100,000원461,100,000 \text{원} - 300,000,000 \text{원} = 161,100,000 \text{원}

3. 요약 표

항목수치
투자 시기 2022년 하반기
매입 단가 10,000원
매입 금액 3억 원
보유 주식 수 30,000주
2025년 배당금(세전) 31,950,000원
2025년 배당금(세후) 27,034,700원
2025년 5월 주가 15,370원
현재 평가금액 461,100,000원
평가차익 161,100,000원
 

4. 결론

  • 2025년 배당금: 세전 약 3,195만 원, 세후 약 2,703만 원
  • 현재(2025년 5월) 평가이익: 약 1억 6,110만 원
  • 총 수익: 배당금 + 평가이익으로, 3억 투자 대비 매우 높은 수익률을 기록 중입니다.

배당금과 시세차익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한 상황입니다.

 

반응형